ASD

<p><a href="/%EB%AF%B8%EA%B5%AD" class="is-exists">미국</a> <a href="/%EB%B0%80%EC%9B%8C%ED%82%A4" class="is-not-exists">밀워키</a>에서 활동한 <a href="/%EC%8B%A0%EB%AC%B8" class="is-not-exists">신문</a> <a href="/%ED%8E%B8%EC%A7%91%EC%9E%90" class="is-exists">편집자</a> 크리스토퍼 래섬 숄스(Christopher Latham Sholes)가 처음 고안한 <a href="/%ED%83%80%EC%9E%90%EA%B8%B0" class="is-not-exists">타자기</a>에서 자판의 <a href="/%EB%B0%B0%EC%97%B4" class="is-not-exists">배열</a>은 <a href="/%EC%95%8C%ED%8C%8C%EB%B2%B3%EC%88%9C" class="is-not-exists">알파벳순</a>이었다. 하지만 <a href="/%EC%B9%9C%EA%B5%AC" class="is-exists">친구</a>인 제임스 덴스모어(James Densmore)에게 이 <a href="/%EB%B0%B0%EC%97%B4" class="is-not-exists">배열</a>에는 몇 가지 <a href="/%EB%AC%B8%EC%A0%9C" class="is-exists">문제</a>가 있었다. <a href="/%EC%86%8D%EA%B8%B0" class="is-not-exists">속기</a>하는 데 <a href="/%EB%B6%88%ED%8E%B8" class="is-not-exists">불편</a>할뿐더러 무엇보다 가까이 있는 <a href="/%EA%B8%80%EC%9E%90" class="is-exists">글자</a>를 연이어 <a href="/%ED%83%80%EC%9E%90" class="is-not-exists">타자</a>할 때 <a href="/%ED%83%80%EC%9E%90%EA%B8%B0" class="is-not-exists">타자기</a>의 <a href="/%EA%B8%80%EC%87%A0" class="is-not-exists">글쇠</a>가 서로 엉키곤 했던 것. 이를 고려해 <a href="/%EC%9E%90%ED%8C%90" class="is-not-exists">자판</a>을 다시 배열할 필요가 있었다.</p> <p><a href="/%EC%A0%95%EC%84%A4" class="is-not-exists">정설</a>로 여겨져온 <a href="/%EC%BF%BC%ED%8B%B0" class="is-not-exists">쿼티</a> <a href="/%EB%B0%B0%EC%97%B4" class="is-not-exists">배열</a>에 관한 이 <a href="/%EC%9D%B4%EC%95%BC%EA%B8%B0" class="is-not-exists">이야기</a>는 오늘날 진위를 의심받으며 <a href="/%EC%A0%95%EC%84%A4" class="is-not-exists">정설</a>에서 <a href="/%EC%86%8C%EB%AC%B8" class="is-not-exists">소문</a>으로 바뀌었다. 크리스토퍼가 자판을 어떻게 다시 배열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, 어쨌든 쿼티 배열은 <a href="/%ED%91%9C%EC%A4%80" class="is-not-exists">표준</a>으로 인정받았고, 첫 <a href="/%EA%B0%9C%EC%9D%B8%EC%9A%A9" class="is-not-exists">개인용</a> <a href="/%EC%BB%B4%ED%93%A8%ED%84%B0" class="is-exists">컴퓨터</a> <a href="/%ED%82%A4%EB%B3%B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키보드</a>의 자판을 거치며 오늘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<a href="/%EB%B0%B0%EC%97%B4" class="is-not-exists">배열</a>이 됐다.</p> <p>자, <a href="/%EB%8B%B9%EC%8B%A0" class="is-exists">당신</a>이 지금 <a href="/%EC%BB%B4%ED%93%A8%ED%84%B0" class="is-exists">컴퓨터</a> 앞에 앉아 있다면 <a href="/%EC%9D%98%EC%9E%90" class="is-exists">의자</a> <a href="/%EB%93%B1%EB%B0%9B%EC%9D%B4" class="is-not-exists">등받이</a>에 <a href="/%EB%93%B1" class="is-not-exists">등</a>을 붙이고, <a href="/%ED%82%A4%EB%B3%B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키보드</a> <a href="/%EC%9E%90%ED%8C%90" class="is-not-exists">자판</a>에서 <a href="/F" class="is-not-exists">F</a>와 <a href="/J" class="is-not-exists">J</a>에 솓은 돌기에 두 손 <a href="/%EA%B2%80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검지</a>를 올려놓자. 이로써 <a href="/%ED%98%84%EB%8C%80%EC%9D%B8" class="is-not-exists">현대인</a> 대부분이 <a href="/%EC%BB%B4%ED%93%A8%ED%84%B0" class="is-exists">컴퓨터</a>를 대하는 <a href="/%EA%B8%B0%EB%B3%B8" class="is-not-exists">기본</a> <a href="/%EC%9E%90%EC%84%B8" class="is-not-exists">자세</a>가 완성됐다. ‘<a href="/%EB%8F%85%EC%88%98%EB%A6%AC%20%ED%83%80%EB%B2%95" class="is-not-exists">독수리 타법</a>’으로 타자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돌기 두 개를 일종의 <a href="/%EC%A0%90%EC%9E%90" class="is-not-exists">점자</a> 삼아 <a href="/%EC%9E%90%ED%8C%90" class="is-not-exists">자판</a>을 보지 않고 다른 <a href="/%EA%B8%80%EC%9E%90" class="is-exists">글자</a>가 어디에 있는지 어렵지 않게 가늠할 수 있다.</p> <p>이때 왼손 <a href="/%EC%86%8C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소지</a>에서 <a href="/%EC%95%BD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약지</a>를 거쳐 <a href="/%EC%A4%91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중지</a>까지 그 아래에 있는 ASD는 가장 타자하기 쉬운 <a href="/%EA%B9%8C%EB%8B%AD" class="is-not-exists">까닭</a>에 오늘날 <a href="/%EC%BB%B4%ED%93%A8%ED%84%B0" class="is-exists">컴퓨터</a> 환경에서 갖가지 용도로 사용된다. 예컨대 <a href="/%EC%82%AC%EC%9A%A9%EC%9E%90%EB%AA%85" class="is-exists">사용자명</a>에서는 <a href="/%EC%82%AC%EC%9A%A9%EC%9E%90%EB%AA%85" class="is-exists">사용자명</a> 따위는 아무래도 좋다는 냉소적 태도를 드러내고, <a href="/%EC%B1%84%ED%8C%85" class="is-not-exists">채팅</a>에서는 상대방에게 할 말이 없거나 아무 생각이 없음을 ‘보여준다.’ (물론 <a href="/%EC%B1%84%ED%8C%85" class="is-not-exists">채팅</a>을 해본 사람라면 누구나 알 수 있듯 이를 위해 ASD만 타자할 수 있는 건 아니다.) 이따금 ASD에 관해 누군가 쓴 <a href="/%EA%B8%80" class="is-not-exists">글</a>의 <a href="/%EC%A0%9C%EB%AA%A9" class="is-exists">제목</a>이 되기도 할 테다. 그런데 그 <a href="/%EA%B8%80" class="is-not-exists">글</a>로 구구절절 <a href="/%EC%9D%B4%EC%95%BC%EA%B8%B0" class="is-not-exists">이야기</a>할 만한 게 있을지 모르겠지만.</p>
모든 것은 편집될 수 있다. 마음만 먹는다면.

미국 밀워키에서 활동한 신문 편집자 크리스토퍼 래섬 숄스(Christopher Latham Sholes)가 처음 고안한 타자기에서 자판의 배열알파벳순이었다. 하지만 친구인 제임스 덴스모어(James Densmore)에게 이 배열에는 몇 가지 문제가 있었다. 속기하는 데 불편할뿐더러 무엇보다 가까이 있는 글자를 연이어 타자할 때 타자기글쇠가 서로 엉키곤 했던 것. 이를 고려해 자판을 다시 배열할 필요가 있었다.

정설로 여겨져온 쿼티 배열에 관한 이 이야기는 오늘날 진위를 의심받으며 정설에서 소문으로 바뀌었다. 크리스토퍼가 자판을 어떻게 다시 배열했는지는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지만, 어쨌든 쿼티 배열은 표준으로 인정받았고, 첫 개인용 컴퓨터 키보드의 자판을 거치며 오늘날 가장 흔히 볼 수 있는 배열이 됐다.

자, 당신이 지금 컴퓨터 앞에 앉아 있다면 의자 등받이을 붙이고, 키보드 자판에서 FJ에 솓은 돌기에 두 손 검지를 올려놓자. 이로써 현대인 대부분이 컴퓨터를 대하는 기본 자세가 완성됐다. ‘독수리 타법’으로 타자하지 않는다면 당신은 돌기 두 개를 일종의 점자 삼아 자판을 보지 않고 다른 글자가 어디에 있는지 어렵지 않게 가늠할 수 있다.

이때 왼손 소지에서 약지를 거쳐 중지까지 그 아래에 있는 ASD는 가장 타자하기 쉬운 까닭에 오늘날 컴퓨터 환경에서 갖가지 용도로 사용된다. 예컨대 사용자명에서는 사용자명 따위는 아무래도 좋다는 냉소적 태도를 드러내고, 채팅에서는 상대방에게 할 말이 없거나 아무 생각이 없음을 ‘보여준다.’ (물론 채팅을 해본 사람라면 누구나 알 수 있듯 이를 위해 ASD만 타자할 수 있는 건 아니다.) 이따금 ASD에 관해 누군가 쓴 제목이 되기도 할 테다. 그런데 그 로 구구절절 이야기할 만한 게 있을지 모르겠지만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