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이곳은 <a href="/%EB%AF%BC%EA%B5%AC%ED%99%8D" class="is-exists">민구홍</a>, 즉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내</a>가 운영하는 <a href="/%EC%9C%84%ED%82%A4" class="is-exists">위키</a>다. (어떤 <a href="/%EC%9D%B4%EB%A6%84" class="is-exists">이름</a>을 붙이는 게 좋을까? ‘<a href="/%EB%AF%BC%EA%B5%AC%ED%99%8D" class="is-exists">민구홍</a> 위키’? ‘<a href="/%EB%AF%BC%EA%B5%AC%ED%99%8D" class="is-exists">민구홍</a> 백과’? 아니면 ‘<a href="/%EC%B2%B4%EB%A6%AC" class="is-exists">체리 농장</a>’? 내게는 <a href="/%EC%9D%B4%EB%A6%84" class="is-exists">이름</a>이 중요하다. 하지만 적당한 <a href="/%EC%9D%B4%EB%A6%84" class="is-exists">이름</a>을 정하기 전까지는 <a href="/%EA%B7%B8%EB%83%A5" class="is-exists">그냥</a> ‘이곳’으로 쓰고 부를까 한다. 하지만 <a href="/%EC%9D%B4%EB%A6%84" class="is-exists">이름</a>을 정해야 관련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를 만들 수 있다.) 이곳은 매순간 흩어지려는 <a href="/%EC%83%9D%EA%B0%81" class="is-not-exists">생각</a>과 <a href="/%EB%A7%90" class="is-exists">말</a>을 <a href="/%EB%AC%B8%EC%9E%90" class="is-exists">문자</a>로 붙잡아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로 치환해 <a href="/%ED%95%98%EC%9D%B4%ED%8D%BC%EB%A7%81%ED%81%AC" class="is-exists">하이퍼링크</a>를 통해 서로 <a href="/%EC%97%B0%EA%B2%B0" class="is-exists">연결</a>하는 곳이다. <a href="/%EC%95%8C%EB%9E%AD%20%EB%A1%9C%EB%B8%8C%EA%B7%B8%EB%A6%AC%EC%98%88" class="is-exists">알랭 로브그리예</a>의 <strong>질투</strong>(La Jalousie) 속 주인공처럼 끊임없이, 이따금 자폐적으로 중얼거리는 곳이다. <a href="/%EB%A7%A4%EC%9D%BC" class="is-not-exists">매일</a> 한두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, 아니 한두 <a href="/%EA%B5%AC%EC%A0%88" class="is-exists">구절</a>, 아니 한두 <a href="/%EB%8B%A8%EC%96%B4" class="is-exists">단어</a>, 아니 한두 <a href="/%EA%B8%80%EC%9E%90" class="is-exists">글자</a>, 아니 한두 <a href="/%EB%AC%B8%EC%9E%A5%EB%B6%80%ED%98%B8" class="is-not-exists">문장부호</a>라도 덧붙여보려 하는 만큼 <a href="/%EC%9D%BC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일지</a>일 수도 있겠다. 거기서 작게나마 뭔가 배웠을 (또는 배우려 했을) 테니 <a href="/TIL" class="is-exists">TIL</a>도 맞겠다. 어떤 대상에 관한 풀이라는 점에서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만의 <a href="/%EC%82%AC%EC%A0%84" class="is-not-exists">사전</a>이거나 그 대상은 모두 내게서 비롯한다는 점에서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에 관한 긴 <a href="/%EC%A3%BC%EC%84%9D" class="is-not-exists">주석</a>일지도 모르겠다. 단순하지만 표준화된 <a href="/%ED%98%95%EC%8B%9D" class="is-not-exists">형식</a>을 갖춘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로 정리된다는 점에서 <a href="/%EC%9D%B8%EB%8D%B1%EC%8A%A4%EC%B9%B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인덱스카드</a>, 또는 그 카드를 정리한 뚱뚱한 <a href="/%EC%9D%B8%EB%8D%B1%EC%8A%A4%EC%B9%B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인덱스카드</a> 한 장에 가까운 한편, 그 자체로 <a href="/%EC%9B%B9%EC%82%AC%EC%9D%B4%ED%8A%B8" class="is-exists">웹사이트</a>인 만큼 <a href="/%EC%9B%B9" class="is-exists">웹</a>을 둘러싼 크고 작은 (<a href="/%EB%AC%B8%EC%9E%90" class="is-exists">문자</a>와 <a href="/%EA%B8%B0%ED%98%B8" class="is-not-exists">기호</a>가 대부분인 만큼 특히 <a href="/%ED%83%80%EC%9D%B4%ED%8F%AC%EA%B7%B8%EB%9E%98%ED%94%BC" class="is-exists">타이포그래피</a>에 관한) <a href="/%EA%B8%B0%EC%88%A0" class="is-not-exists">기술</a>을 미리 적용해보고 <a href="/%EC%8B%A4%ED%8C%A8" class="is-exists">실패해보는</a> 실험실이기도 하다. (<a href="/%EC%8A%AC%EA%B8%B0%EC%99%80%20%EB%AF%BC" class="is-exists">슬기와 민</a> <a href="/%EC%9B%B9%EC%82%AC%EC%9D%B4%ED%8A%B8" class="is-exists">웹사이트</a>의 <a href="/%ED%91%B8%ED%84%B0" class="is-not-exists">푸터</a>에 자리한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처럼 이곳 또한 그렇게 “영원히 제작된다.”) 어쨌든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에 관한, <a href="/%EC%88%9C%EC%84%9C" class="is-exists">순서</a>가 중요하지 않은 <a href="/%EB%AA%A9%EB%A1%9D" class="is-exists">목록</a>이자 <a href="/%EC%96%B4%EC%A0%9C" class="is-exists">어제</a>의 <a href="/%EC%B6%94%EC%96%B5" class="is-exists">추억</a>과 <a href="/%EA%B8%B0%EC%96%B5" class="is-not-exists">기억</a>을 <a href="/%EC%98%A4%EB%8A%98" class="is-exists">오늘</a>과 <a href="/%EB%82%B4%EC%9D%BC" class="is-exists">내일</a>의 <a href="/%ED%95%98%EC%9D%B4%ED%8D%BC%EB%A7%81%ED%81%AC" class="is-exists">하이퍼링크</a>로 만들려는 작지만 큰 시도이자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의 <a href="/%EC%B7%A8%ED%96%A5" class="is-exists">취향</a>과 <a href="/%EC%95%BC%EC%8B%AC" class="is-exists">야심</a>을 <a href="/%EB%B6%80%EB%81%84%EB%9F%AC%EC%9B%80" class="is-exists">부끄러움</a>을 잊고 드러내는 곳이자 <a href="/%EC%95%88%ED%8C%8E" class="is-not-exists">안팎</a>으로 ‘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’라는 <a href="/%ED%95%A8%EC%88%98" class="is-not-exists">함수</a>를 통과한, 즉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를 비롯해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를 중심으로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를 둘러싼 <a href="/%EA%B1%B0%EC%9D%98" class="is-exists">거의</a> <a href="/%EB%AA%A8%EB%93%A0" class="is-exists">모든</a> 것에 <a href="/%EC%83%88%EB%A1%9C%EC%9A%B4%20%EC%A7%8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새로운 질서</a>를 부여한 결과물이라는 점만큼은 분명하다.</p>
<p>그나저나 굳이 이런 걸 만든 <a href="/%EA%B9%8C%EB%8B%AD%EC%9D%80" class="is-exists">까닭은</a>? 글쎄? 이럴 때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는 다른 사람의 <a href="/%EB%A7%90" class="is-exists">말</a>을 뒤적거리고, 거기서 <a href="/%ED%95%B4%EB%8B%B5" class="is-exists">해답</a> 또는 <a href="/%ED%95%B4%EB%8B%B5" class="is-exists">해답</a> 비슷한 것을 찾으면 맹신하고 맹종하는 편이다. 자주 <a href="/%EC%9D%B8%EC%9A%A9" class="is-not-exists">인용</a>하곤 하는 <strong><a href="/%EC%99%80%EC%9D%B4%EC%96%B4%EB%93%9C" class="is-exists">와이어드</a></strong>의 초대 <a href="/%ED%8E%B8%EC%A7%91%EC%9E%A5" class="is-not-exists">편집장</a> <a href="/%EC%BC%80%EB%B9%88%20%EC%BC%88%EB%A6%AC" class="is-exists">케빈 켈리</a>는 이렇게 말했다.</p>
<blockquote>
<p>올해 도전할 가장 가치 있는 목표는 1년 전에는 어쩜 이걸 몰랐을까 싶은 것을 배우는 일입니다.</p>
</blockquote>
<p>매년 자신의 <a href="/%EC%83%9D%EC%9D%BC" class="is-exists">생일</a>에 그가 <a href="https://kk.org/streetuse">자신의 블로그</a>에 게시해온 <a href="/%EC%A1%B0%EC%96%B8" class="is-exists">조언</a> 가운데 하나인데, <a href="/%EC%9E%90%EA%B8%B0%20%EA%B3%84%EB%B0%9C%EC%84%9C" class="is-exists">자기 계발서</a>에서나 읽을 법한 이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이 나를 그저 이끈 것 같다. 그를 <a href="/%EC%A2%8B%EC%95%84%ED%95%98%EB%8A%94" class="is-exists">좋아하는</a> 까닭이다. 생각해보면 모든 <a href="/%EC%8B%9C%EC%9E%91" class="is-exists">시작</a>은 참 사소하고 보잘것없다.</p>
<hr />
<p>처음에는 편하게 기존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20%EC%97%94%EC%A7%84" class="is-exists">위키 엔진</a>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사용하려 했다. 하지만 여러 엔진을 하나하나 <a href="/%ED%85%8C%EC%8A%A4%ED%8A%B8" class="is-exists">테스트</a>해보니 한두 가지씩 발목을 잡았다. 글을 쓸 <a href="/%EB%85%B8%ED%8A%B8" class="is-not-exists">노트</a>를 한 권 마련하는 데 지나치게 까탈스러운 꼴이랄까.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EB%B0%B1%EA%B3%BC" class="is-not-exists">위키백과</a>에 사용되는 <a href="/%EB%AF%B8%EB%94%94%EC%96%B4%EC%9C%84%ED%82%A4" class="is-not-exists">미디어위키</a>는 지나치게 무거웠고, <a href="/%EB%8F%84%EC%BF%A0%EC%9C%84%ED%82%A4" class="is-not-exists">도쿠위키</a>는 특유의 독자적인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C%97%85%20%EC%96%B8%EC%96%B4" class="is-exists">마크업 언어</a>가 <a href="/%EB%A7%88%EC%9D%8C" class="is-exists">마음</a>에 들지 않았다. <a href="/%EA%B9%83%ED%97%88%EB%B8%8C" class="is-not-exists">깃허브</a> 등에 공개된 수많은 <a href="/%EC%98%A4%ED%94%88%EC%86%8C%EC%8A%A4" class="is-not-exists">오픈소스</a> 엔진들은 더 이상 <a href="/%EC%97%85%EB%8D%B0%EC%9D%B4%ED%8A%B8" class="is-exists">업데이트</a>되지 않거나 내 입맛에 맞추기 복잡했다. (즉, <a href="/%EC%BD%9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코드</a>를 이해하기 어려웠다.) 무엇보다 모두 불필요한 기능이 너무 많았다. 물론 각 엔진을 만든 사람들의 <a href="/%EB%A7%88%EC%9D%8C" class="is-exists">마음</a>을 충분히 이해한다. 엔진을 사용할 ‘<a href="/%EB%AA%A8%EB%91%90" class="is-exists">모두</a>’를 위해 뭔가를 계속 마련하고 싶었을 테지만, 안타깝게도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는 그 ‘<a href="/%EB%AA%A8%EB%91%90" class="is-exists">모두</a>’에 해당하지 않았다. 내게 필요한 기능은 훨씬 단순했다. 결국 <a href="/%EC%BC%80%EB%B9%88%20%EC%BC%88%EB%A6%AC" class="is-exists">케빈 켈리</a>의 말을 되새기며 <a href="/%ED%95%B8%EB%93%9C%EB%A9%94%EC%9D%B4%EB%93%9C%20%EC%9B%B9" class="is-exists">핸드메이드 웹</a>의 정신에 따라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만의 <a href="/%EB%85%B8%ED%8A%B8" class="is-not-exists">노트</a>, 즉 <a href="/%EB%82%98" class="is-exists">나</a>만의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20%EC%97%94%EC%A7%84" class="is-exists">위키 엔진</a>을 만들어보기로 <a href="/%EB%A7%88%EC%9D%8C" class="is-exists">마음</a> 먹었다. 다음 <a href="/%EC%A1%B0%EA%B1%B4" class="is-not-exists">조건</a>을 만족하는…</p>
<ul>
<li><a href="/PHP" class="is-exists">PHP</a>로 동작한다.</li>
<li>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 <a href="/%EB%8D%B0%EC%9D%B4%ED%84%B0%EB%B2%A0%EC%9D%B4%EC%8A%A4" class="is-not-exists">데이터베이스</a>를 사용한다. 즉, 모든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는 <a href="/%EC%84%9C%EB%B2%84" class="is-exists">서버</a>에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로 저장된다.</li>
<li>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의 <a href="/%EB%82%B4%EC%9A%A9" class="is-exists">내용</a>을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C%97%85" class="is-not-exists">마크업</a>하는 데는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B%8B%A4%EC%9A%B4" class="is-exists">마크다운</a>을 사용한다. 이를 활용해 각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를 연결하는 <a href="/%ED%95%98%EC%9D%B4%ED%8D%BC%EB%A7%81%ED%81%AC" class="is-exists">하이퍼링크</a>를 손쉽게 만들수 있다.</li>
<li><a href="/%EB%A1%9C%EA%B7%B8%EC%9D%B8" class="is-not-exists">로그인</a>한 <a href="/%EC%82%AC%EC%9A%A9%EC%9E%90" class="is-not-exists">사용자</a>만 새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를 만들거나 기존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를 편집할 수 있다.</li>
<li>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의 <a href="/%EB%82%B4%EC%9A%A9" class="is-exists">내용</a>을 지우면 해당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가 삭제된다.</li>
</ul>
<p>그렇게 두어 달에 걸쳐 <a href="/%EC%A3%BC%EB%A7%90" class="is-exists">주말</a> <a href="/%EC%98%A4%ED%9B%84" class="is-not-exists">오후</a>를 고스란히 투자한 끝에 내게 최적화한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20%EC%97%94%EC%A7%84" class="is-exists">위키 엔진</a>을 만들고 말았다. <a href="/%EB%AF%BC%EA%B5%AC%ED%99%8D%20%EB%A7%A4%EB%89%B4%ED%8C%A9%EC%B2%98%EB%A7%81" class="is-exists">민구홍 매뉴팩처링</a>의 도움을 받아 <a href="/%EB%B0%B1%EC%A7%80" class="is-not-exists">백지</a> 상태에서 <a href="/PHP" class="is-exists">PHP</a>를 공부하는 동시에 한 줄 한 줄 코드를 써나가며. 그 과정은 내가 늘 이야기하듯 <a href="/%EA%B8%80%EC%93%B0%EA%B8%B0" class="is-exists">글쓰기</a>와 다르지 않았다. 큰 얼개를 잡고,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, 즉 <a href="/%EC%BD%9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코드</a>를 쏟아내고, <a href="/%ED%8E%B8%EC%A7%91" class="is-exists">편집</a>하고, <a href="/%ED%87%B4%EA%B3%A0" class="is-exists">퇴고</a>하고, <a href="/%ED%87%B4%EA%B3%A0" class="is-exists">퇴고</a>하고, <a href="/%ED%87%B4%EA%B3%A0" class="is-exists">퇴고</a>하고, 또 <a href="/%ED%87%B4%EA%B3%A0" class="is-exists">퇴고</a>하고. 주요한 <a href="/%EC%BD%94%EB%93%9C" class="is-not-exists">코드</a>만 살펴보면 왜 진작 시도해보지 않았을까 싶을 만큼 단순했다. 언젠가는 공개하고 싶다. (그때는 반드시 이곳뿐 이곳을 가능하게 한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20%EC%97%94%EC%A7%84" class="is-exists">위키 엔진</a>을 가리키는 <a href="/%EC%9D%B4%EB%A6%84" class="is-exists">이름</a>까지 필요해진다.) 그전까지는 <a href="/%EC%83%88%EB%A1%9C%EC%9A%B4%20%EC%A7%8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새로운 질서</a>에서 활용해볼 수도 있겠다.</p>
<p>내 <a href="/%EB%B0%94%EB%9E%8C" class="is-exists">바람</a>대로 <a href="/%EC%84%9C%EB%B2%84" class="is-exists">서버</a>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은 다시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B%8B%A4%EC%9A%B4" class="is-exists">마크다운</a> 파서와 스마티팬츠(SmartyPants)까지 거쳐 완벽에 가까울 만큼 깔끔한 <a href="/HTML" class="is-exists">HTML</a>로 렌더링된다. <a href="/%EB%8D%B0%EC%9D%B4%ED%84%B0%EB%B2%A0%EC%9D%B4%EC%8A%A4" class="is-not-exists">데이터베이스</a>가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인 덕에 다루거나 백업하기 쉽고, 경우에 따라 <a href="/%EC%84%9C%EB%B2%84" class="is-exists">서버</a>에서 직접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을 만들거나 <a href="/%EC%88%98%EC%A0%95" class="is-not-exists">수정</a>할 수 있는 한편,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C%97%85%20%EC%96%B8%EC%96%B4" class="is-exists">마크업 언어</a>로 <a href="/%EB%A7%88%ED%81%AC%EB%8B%A4%EC%9A%B4" class="is-exists">마크다운</a>을 사용할 수 있게 된 덕에 내가 즐겨 사용하는 <a href="/iA%20%EB%9D%BC%EC%9D%B4%ED%84%B0" class="is-exists">iA 라이터</a>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다. 결국 이 <a href="/%EC%9C%84%ED%82%A4%20%EC%97%94%EC%A7%84" class="is-exists">위키 엔진</a>은 <a href="/PHP" class="is-exists">PHP</a> <a href="/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파일</a> 몇 개로 작동하는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의,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에 의한, <a href="/%ED%85%8D%EC%8A%A4%ED%8A%B8%20%ED%8C%8C%EC%9D%BC" class="is-exists">텍스트 파일</a>을 위한 <a href="/%EC%BD%98%ED%85%90%EC%B8%A0%20%EB%A7%A4%EB%8B%88%EC%A7%80%EB%A8%BC%ED%8A%B8%20%EC%8B%9C%EC%8A%A4%ED%85%9C" class="is-not-exists">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</a>인 셈이다.</p>
<p><a href="/%EC%A0%80%EC%88%A0%20%EB%B0%8F%20%ED%8E%B8%EC%A7%91%20%EC%A7%80%EC%B9%A8" class="is-exists">저술 및 편집 지침</a>을 마련한 한편, 몇 가지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. 그 가운데 하나가 <a href="/%EC%9C%84%ED%82%A4" class="is-exists">위키</a>에 필수적인 역링크(backlink)다. 즉,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의 <a href="/%EC%A0%9C%EB%AA%A9" class="is-exists">제목</a>을 <a href="/%ED%81%B4%EB%A6%AD" class="is-exists">클릭</a>하거나 <a href="/%ED%84%B0%EC%B9%98" class="is-not-exists">터치</a>하면, 해당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가 언급된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를, 정확히는 해당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의 <a href="/%EC%A0%9C%EB%AA%A9" class="is-exists">제목</a>을 렌더링한다. 그렇게 각 <a href="/%EB%AC%B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문서</a>는 서로 (게다가 자동으로) <a href="/%EC%96%B4%EA%B9%A8%EB%8F%99%EB%AC%B4" class="is-exists">어깨동무</a>하며 나조차 <a href="/%EC%83%9D%EA%B0%81" class="is-not-exists">생각</a>지 못한 <a href="/%EC%83%88%EB%A1%9C%EC%9A%B4%20%EC%A7%88%EC%84%9C" class="is-exists">새로운 질서</a>를 만든다.</p>
<hr />
<p>그렇게 <a href="/%EB%8F%85%EC%9E%90" class="is-exists">독자</a>는 이곳에서 두서 없는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과 이따금 그 <a href="/%EB%AC%B8%EC%9E%A5" class="is-exists">문장</a> 속 <a href="/%EA%B5%AC%EC%A0%88" class="is-exists">구절</a>이나 <a href="/%EB%8B%A8%EC%96%B4" class="is-exists">단어</a>를 감싼 (다소 딱딱해 보이는) <a href="/%ED%95%98%EC%9D%B4%ED%8D%BC%EB%A7%81%ED%81%AC" class="is-exists">하이퍼링크</a>와 마주한다. 그리고 <a href="/%ED%95%98%EC%9D%B4%ED%8D%BC%EB%A7%81%ED%81%AC" class="is-exists">하이퍼링크</a>는 밤하늘(midnightblue)의 눈(snow)처럼 반짝인다. 게다가 녹지도 않고, 그래서 <a href="/%EC%8B%A0%EB%B0%9C" class="is-exists">신발</a>을 축축하게 더럽히는 흙탕물을 만들지도 않으며.</p>
<p><a href="/%EC%A3%BC%EC%86%8C" class="is-not-exists">주소</a>는 다음과 같다.</p>
<ul>
<li><a href="https://wiki.minguhong.fyi">https://wiki.minguhong.fyi</a></li>
</ul>
모든 것은 편집될 수 있다. 마음만 먹는다면.
이곳은 민구홍 , 즉 내 가 운영하는 위키 다. (어떤 이름 을 붙이는 게 좋을까? ‘민구홍 위키’? ‘민구홍 백과’? 아니면 ‘체리 농장 ’? 내게는 이름 이 중요하다. 하지만 적당한 이름 을 정하기 전까지는 그냥 ‘이곳’으로 쓰고 부를까 한다. 하지만 이름 을 정해야 관련 문서 를 만들 수 있다.) 이곳은 매순간 흩어지려는 생각 과 말 을 문자 로 붙잡아 문서 로 치환해 하이퍼링크 를 통해 서로 연결 하는 곳이다. 알랭 로브그리예 의 질투 (La Jalousie) 속 주인공처럼 끊임없이, 이따금 자폐적으로 중얼거리는 곳이다. 매일 한두 문장 , 아니 한두 구절 , 아니 한두 단어 , 아니 한두 글자 , 아니 한두 문장부호 라도 덧붙여보려 하는 만큼 일지 일 수도 있겠다. 거기서 작게나마 뭔가 배웠을 (또는 배우려 했을) 테니 TIL 도 맞겠다. 어떤 대상에 관한 풀이라는 점에서 나 만의 사전 이거나 그 대상은 모두 내게서 비롯한다는 점에서 나 에 관한 긴 주석 일지도 모르겠다. 단순하지만 표준화된 형식 을 갖춘 문서 로 정리된다는 점에서 인덱스카드 , 또는 그 카드를 정리한 뚱뚱한 인덱스카드 한 장에 가까운 한편, 그 자체로 웹사이트 인 만큼 웹 을 둘러싼 크고 작은 (문자 와 기호 가 대부분인 만큼 특히 타이포그래피 에 관한) 기술 을 미리 적용해보고 실패해보는 실험실이기도 하다. (슬기와 민 웹사이트 의 푸터 에 자리한 문장 처럼 이곳 또한 그렇게 “영원히 제작된다.”) 어쨌든 나 에 관한, 순서 가 중요하지 않은 목록 이자 어제 의 추억 과 기억 을 오늘 과 내일 의 하이퍼링크 로 만들려는 작지만 큰 시도이자 나 의 취향 과 야심 을 부끄러움 을 잊고 드러내는 곳이자 안팎 으로 ‘나 ’라는 함수 를 통과한, 즉 나 를 비롯해 나 를 중심으로 나 를 둘러싼 거의 모든 것에 새로운 질서 를 부여한 결과물이라는 점만큼은 분명하다.
그나저나 굳이 이런 걸 만든 까닭은 ? 글쎄? 이럴 때 나 는 다른 사람의 말 을 뒤적거리고, 거기서 해답 또는 해답 비슷한 것을 찾으면 맹신하고 맹종하는 편이다. 자주 인용 하곤 하는 와이어드 의 초대 편집장 케빈 켈리 는 이렇게 말했다.
올해 도전할 가장 가치 있는 목표는 1년 전에는 어쩜 이걸 몰랐을까 싶은 것을 배우는 일입니다.
매년 자신의 생일 에 그가 자신의 블로그 에 게시해온 조언 가운데 하나인데, 자기 계발서 에서나 읽을 법한 이 문장 이 나를 그저 이끈 것 같다. 그를 좋아하는 까닭이다. 생각해보면 모든 시작 은 참 사소하고 보잘것없다.
처음에는 편하게 기존 위키 엔진 가운데 하나를 선택해 사용하려 했다. 하지만 여러 엔진을 하나하나 테스트 해보니 한두 가지씩 발목을 잡았다. 글을 쓸 노트 를 한 권 마련하는 데 지나치게 까탈스러운 꼴이랄까. 위키백과 에 사용되는 미디어위키 는 지나치게 무거웠고, 도쿠위키 는 특유의 독자적인 마크업 언어 가 마음 에 들지 않았다. 깃허브 등에 공개된 수많은 오픈소스 엔진들은 더 이상 업데이트 되지 않거나 내 입맛에 맞추기 복잡했다. (즉, 코드 를 이해하기 어려웠다.) 무엇보다 모두 불필요한 기능이 너무 많았다. 물론 각 엔진을 만든 사람들의 마음 을 충분히 이해한다. 엔진을 사용할 ‘모두 ’를 위해 뭔가를 계속 마련하고 싶었을 테지만, 안타깝게도 나 는 그 ‘모두 ’에 해당하지 않았다. 내게 필요한 기능은 훨씬 단순했다. 결국 케빈 켈리 의 말을 되새기며 핸드메이드 웹 의 정신에 따라 나 만의 노트 , 즉 나 만의 위키 엔진 을 만들어보기로 마음 먹었다. 다음 조건 을 만족하는…
그렇게 두어 달에 걸쳐 주말 오후 를 고스란히 투자한 끝에 내게 최적화한 위키 엔진 을 만들고 말았다. 민구홍 매뉴팩처링 의 도움을 받아 백지 상태에서 PHP 를 공부하는 동시에 한 줄 한 줄 코드를 써나가며. 그 과정은 내가 늘 이야기하듯 글쓰기 와 다르지 않았다. 큰 얼개를 잡고, 문장 , 즉 코드 를 쏟아내고, 편집 하고, 퇴고 하고, 퇴고 하고, 퇴고 하고, 또 퇴고 하고. 주요한 코드 만 살펴보면 왜 진작 시도해보지 않았을까 싶을 만큼 단순했다. 언젠가는 공개하고 싶다. (그때는 반드시 이곳뿐 이곳을 가능하게 한 위키 엔진 을 가리키는 이름 까지 필요해진다.) 그전까지는 새로운 질서 에서 활용해볼 수도 있겠다.
내 바람 대로 서버 의 특정 폴더에 저장된 텍스트 파일 은 다시 마크다운 파서와 스마티팬츠(SmartyPants)까지 거쳐 완벽에 가까울 만큼 깔끔한 HTML 로 렌더링된다. 데이터베이스 가 텍스트 파일 인 덕에 다루거나 백업하기 쉽고, 경우에 따라 서버 에서 직접 텍스트 파일 을 만들거나 수정 할 수 있는 한편, 마크업 언어 로 마크다운 을 사용할 수 있게 된 덕에 내가 즐겨 사용하는 iA 라이터 에서도 바로 활용할 수 있다. 결국 이 위키 엔진 은 PHP 파일 몇 개로 작동하는 텍스트 파일 의, 텍스트 파일 에 의한, 텍스트 파일 을 위한 콘텐츠 매니지먼트 시스템 인 셈이다.
저술 및 편집 지침 을 마련한 한편, 몇 가지 기능이 추가되기도 했다. 그 가운데 하나가 위키 에 필수적인 역링크(backlink)다. 즉, 문서 의 제목 을 클릭 하거나 터치 하면, 해당 문서 가 언급된 문서 를, 정확히는 해당 문서 의 제목 을 렌더링한다. 그렇게 각 문서 는 서로 (게다가 자동으로) 어깨동무 하며 나조차 생각 지 못한 새로운 질서 를 만든다.
그렇게 독자 는 이곳에서 두서 없는 문장 과 이따금 그 문장 속 구절 이나 단어 를 감싼 (다소 딱딱해 보이는) 하이퍼링크 와 마주한다. 그리고 하이퍼링크 는 밤하늘(midnightblue)의 눈(snow)처럼 반짝인다. 게다가 녹지도 않고, 그래서 신발 을 축축하게 더럽히는 흙탕물을 만들지도 않으며.
주소 는 다음과 같다.